우리는 지금 호흡을 올바르게 하고 있을까?


호흡은 비자율신경계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호흡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 채 하루를 보낼 것이다. 

그렇다면 왜 제대로 호흡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며, 제대로 호흡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우리는 사실 태어났을 때부터 자동적으로 호흡을 했기 때문에 '호흡하는 방법'을 배운 적이 없다. 그래서 '나는 자연스럽게 호흡을 하고 있다' 라고 생각할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주위에 아기가 있다면 숨 쉬는 것을 유심히 관찰해보자. 아기들은 우리보다 천천히 숨을 쉬며, 배가 볼록하게 올랐다 내렸다 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너무나 평온하고,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호흡아이의 호흡은 언제나 평안하고 안정적이다.


우리 모두 처음에는 그렇게 호흡을 했을 것이다. 그렇게 호흡하는 것이 원래 호흡하는 방식이고, 우리 모두는 이미 알고 있었음에도 세월이 흐르면서, 성인이 되어가면서, 여러 주위 환경의 영향으로, 스트레스로,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인해 짧아진, 가파진, 끊어지는 호흡을 나도 모르게 하고 있다. 우리는 숨가쁘게 살아가고 있다.



*호흡과 평균수명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2020/11/19 - [요가, 명상] - 프라나야마(Pranayama)란 무엇인가


평균수명을 이야기할 때의 단위로 우리는 '년' 또는 '해'를 사용한다. 100세시대 하는 말은 인간의 평균수명이 '100년'이 되는 시대가 도달할 거라는 말이다. 하지만 요가에서 보는 수명의 관점은 다르다. 수명을 결정짓는 요인이 '년' 또는 '해'가 아니라 '호흡수'가 된다.

호흡을 길고 천천히 하면 평균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말인데, 그 이해를 돕기 위해 동물들의 평균수명을 '분당 호흡횟수'로 예를 들어 보겠다.

개는 호흡이 빠른 걸로 알려져 있는데, 분당 호흡수는 최소10번에서 30번 미만이며 평균 수명은 8~12년이다.



코끼리는 개보다 호흡이 느린데, 누워있을 때는 분당 호흡수가 4~5회, 서 있을 때는 10~12회이다. 평균 수명은 종에 따라 차이가 나기는 하지만 40~60년 사이이다. 

거북이의 경우 대게 분당 호흡수가 4~5회로 아주 적으며, 평균 수명은 대략 150년 정도가 된다.

인간은 분당 호흡수가 16~18회, 평균 수명은 70~80년이다. 인간의 경우 의학의 발달로 인해 평균수명이 다른 동물보다는 호흡수에 비해 조금 더 길다고 볼 수는 있다.


거북이는 대표적인 장수 동물이다


위의 경우를 보았을 때, 호흡이 빠를 수록 평균 수명이 짧고, 길수록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말은 호흡 횟수가 많을수록 수명을 빨리하게 되는 것이다.

마치 스쿠버다이빙에서 정해진 양의 산소탱크를 메고 물 속에 들어가 정해진 만큼의 호흡을 얼마나 오랫동안 하느냐 하는 것과 비슷한 느낌이다.


그렇다면 다시 우리의 호흡으로 돌아와서, 우리는 평소에 빠른 호흡을 하고 있을까 느린 호흡을 하고 있을까를 되짚어보도록 하자.

우리의 몸이 스트레스를 받거나, 경쟁적인 상황에 처해 있다면 우리 몸은 자동으로 싸울 자세를 갖추고 있다. 


스트레스는 호흡을 얕고 빠르게 한다.


이것은 마치 산을 지나다 호랑이를 만났을 때와 같은 상황으로, 지금 당장 도망갈 수 있도록 근육을 준비시키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빠른 산소공급이 필요하다. 그렇게 되면 자연적으로 얕고 빠른 호흡을 하게 된다. 우리는 그래서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얕고 빠른 호흡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어떻게 다시 원래의 호흡을 되찾을까.

횡격막을 인지하는 깊은 호흡과 그로 인한 몸의 독소들을 배출해 내는 것이 필수이다. 신체적으로 근육만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 아닌, 마음의 독소 또한 배출해 내야 한다.


깊고 자연스러운 원래의 호흡으로 돌아오는 것부터 시작하자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원래의 호흡으로 돌아와야지만 프라나야마를 마스터하기 위한 준비가 되는 것이다. 호흡이 잦아들어 길어지게 되면 자신의 생각들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호흡이 길게 연장하는 것은 의식과 무의식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이다. 호흡이 길어짐으로서 'Kumbhaka' 즉 호흡이 없는 상태로 들어설 수 있고, 생명 그 근원으로 한발짝 다가갈 수 있게 되며, 쿤달리니 샥티를 깨울 수 있다.

 









프라나야마(Pranayama)

프라나야마(pranayama)는 두 개의 산스크리어트가 결합된 단어이다.

*Prana: 'vitality', 'the essence', 'the life force' 생명력, 본질

*Ayama: 'mastery', 'control', 'regulation' 숙달, 조절, 통제


명상자세명상수련



그래서 이 두 단어를 합쳐보면, 생명력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것에 숙달했다는 의미가 된다. 또 다른 의미로는 생명력을 유지하는 데 필수인 호흡, 또는 들숨과 날숨이 교차하는 시점을 마스터했다는 의미가 되기도 한다.



프라나야마에 관해서는 호흡법이라고 많이 알려져 있지만 사실상 그 둘은 다르다. 프라나는 호흡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만, 호흡은 프라나가 아니다. 꾸준히 연습하여 어느 정도의 경지에 오르면 오롯이 정신으로 연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풍선을 들어보자. 풍선안은 공기로 채워져 있지만 풍선은 살아있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프라나가 없기 때문이다.

프라나야마를 통해 막혀있던 에너지 채널인  'sushumna(수슘나)'를 열 수 있고, 우리몸에 잠자고 있는 에너지인 'Kundalini(쿤달리니)'를 깨울 수 있다.


요가 해부학을 들여다보면, 호흡은 몸(감각)과 마음을 연결 시켜주는 중간에 위치하여 있다. 조금 더 고차원으로 들어가면 의식과 무의식의 중간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한다.

우리가 하는 명상법에 호흡을 많이 이용하는 이유는 호흡을 통해 널뛰는 마음을 가만히 앉아있는 몸과 일치시키는 연습을 하기 위함이다. 

마음이 몸보다는 더 섬세하지만 기본적으로 요가에서는 몸과 마음은 같은 경지에 있는 것이라 보고 있다. 이렇게 이해하면 우리가 왜 요가 동작들을 할 때 한 자세에서 오래 머물러 있는지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몸을 정지시키고 호흡을 이용하여 마음을 가라앉히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마음챙김마음챙김


호흡은 의식과 무의식을 조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리 몸의 자율/비자율 신경계 또한 조정할 수 있다.  호흡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하도록 우리 몸에 자동 시스템화 되어 있다. 산소가 부족한 곳에 가면 자동적으로 숨이 가빠지거나 입으로 호흡하여 산소를 더 보충하려고 한다. 하지만 우리는 호흡을 연습함으로서 조절할 수도 있다. 



호흡은 마음과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의 호흡을 지켜보면 나의 마음 상태가 어떠한지 금방 알 수 있다. 마음이 편안할 때는 호흡을 깊고 천천히 하고, 긴장되거나 화가 나 있을 때는 나도 모르게 빠르고 얕을 호흡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프라나야마낮은 단계에서 계속 수행하면 높은 경지에 오를 수 있다


그리하여 호흡을 연습하면 우리의 마음을 차분하게 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 말이 호흡을 통해서 마음을 조절하라는 뜻이 아니고, 마음의 성질 그대로를 지켜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게 우리는 우리가 하는, 혹은 머릿속에 떠오르는 수만가지 생각들을 의식적으로 바라보지 않는다. 그저 생각이 떠오르는 대로 따라갈 뿐이다. 좋은 생각이 떠오르면 기분이 좋아지고, 나쁜 생각을 하면 기분이 나빠진다. 좋은 생각을 했다고 좋고, 나쁜 생각을 했다고 나쁜 것이 아니고 둘 다 똑같다. 호흡을 관찰하면, 자신의 의식을 다시 찾게 되고 그로 인해 현재 마음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그렇게 되면 자연히 마음이 차분하게 가라앉는다.

 

+ Recent posts